먼저 크리스마스는 매년 12월 25일이다. 이 날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념일로, 영어의 그리스도(Christ)와 미사(mass)의 합성어이다. 크리스마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온 과정을 얘기해야 한다. 최초로 크리스마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년도는 1884년이으로, 우리나라에 개신교를 전파하러 온 선교사들이 각자의 가정에서 성탄절을 기렸고, 그 이듬해부터 확산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최초로 성탄절을 기념한 곳은 '독립신문'이었다. 이 후 개신교가 널리 퍼지면서, 1987년부터는 배재학당, 정동예배당 등지에서 성탄절 행사가 열렸다. 우리나라에서의 크리스마스는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1949년 정부수립 후 최초로 지정된 공휴일 중 하나다. 우리나라에서의 성탄절은 연말의 유일한 공휴일이자, 한 해의 마지막 공휴일이다. 크리스마스에는 무엇을 할까? 우리나라의 크리스마스는 가족, 지인, 연인들이 만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보내는 날이라고 인식되어 있다. 또 새해에 좋은 일이 생길 수 있길 서로 축복해 준다. 그럼 다른 나라에서는 크리스마스에 무엇을 할까? 먼저 일본에서는 치킨을 먹는다. 당시 일본에 치킨집이 처음
요즘 ENA에서 방영하고 있는 수목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드라마 주인공 '우영우'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천재 변호사다. 이 천재 변호사가 “한바다”라고 불리는 대형 로펌에 취직해,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상황들에 대해서 법적으로 피고인을 변호하는 내용이다. 여기서 '우영우' 변호사가 가지고 있는 장애, '자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자폐란? 자폐증(autism)은 주로 3세 이전에 나타나는데, △언어 표현과 이해 △어머니에 대한 애착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난다.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자폐증의 동의어 자폐증의 동의어로는 △자폐 △자폐병 △자폐성장애 △자폐성질환 △자폐스펙트럼장애 등이 있다. ▶자폐증 증상 자폐증 증상으로, 대표적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에 질적인 문제를 보이고, 언어와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인다. 또,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상동증을 보이고, 기분과 정서의 불안정성을 보이기도 하며, 75%의 자폐
열 손가락 -권혁 인생에 한 손가락으로 샤라락, 그런 동화같은 이야긴 없다. 피아노를 칠 때, 우리가 한 손가락으로 피아노의 감정과 격정을 담아 낼 수 없듯. 높고 험한 절벽을 오를 때, 우리가 한 손가락으로 그 높고 거칠고 일말의 희망을 타고 올라갈 수 없듯. 춤을 출 때, 우리가 한 손가락으로 우리의 모든 감정을, 생각을, 의미를, 전달해 줄수 없듯. 인생을, 역경을, 무대를, 사람은, 세상은, 한 손가락 만으로 정의 될 수 없다고. 아 삶이 노래한다. 그대는 열 손가락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 열 손가락을 여러 문화와 사람을 의미 했고,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맨날 일어나는 일은 한 손가락으로 이루어 질수 없다는 것을 표현하며 우리도 한 문화, 사람 가지곤 살아갈 수 없다는 의미를 표현해 내고 싶었다.
사회 분류법 암묵적으로, 우린 남과 남과 나를 가른다 이상한 놈 지적인 놈 저런 놈 같은 고개를 곡예 넘어서 헤벌레라 하리 사회가 우릴 인정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사회를 인정하지 않으리 늘, 그래 왔 듯이 사회 분류법 해석 평범하고 당연하게 말한다면 다른 모습으로 같은 땅에서 같이 일해도 자국의 국민으로 인정해주지 않으려는 사람들과 그 사회를 피하려는 사람들을 나타내 아무리 다문화가 있다한들 사람들은 쉽게 변하지 않는 모습을 풍자한것이다.
우리의 사랑법 너는 도시의 사랑법으로 나를 사랑해주었다 나는 널 시골의 사랑법으로 사랑했다 우린 너무나 다른 자신의 사랑법으로 서로를 사랑해줬다 시간이 지나면 도시의 사랑법도 시골의 사랑법도 아닌 그저 우리들의 사랑법으로 서로를 사랑할 수 있길...... 해석 : 문화가 다른 두 남녀가 서로의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나중에는 그들만에 문화를 만든다는 내용을 담은 시입니다
그 아이 진주같은 눈에 밤하늘을 담은 머리칼의 소녀 다른 나라에서 왔다더니 참 예쁘다 요정처럼 아름답게 말하는 그 소녀 다른 곳에서 피었어도 꽃은 꽃인가보다 히아신스를 닮아 기쁨을 선물한다 바다가 담긴 눈에 꿀타래를 늘어뜨린 소년 바다 건너 왔다더니 외국어도 잘한다 사르륵 접히는 눈이 예쁜 그 소년 보석처럼 아름답게 빛난다 눈은 사파이어를 박아 넣은 듯 진실하고 자애롭게 빛난다 해석: 어떤 나라에서 왔던, 머리색과 눈색이 어떠건 사람은 좋은점, 아름다운 점이 있고 어디서 태어나서 자랐던 사람은 똑같은 사람이다.
점 커다랗고 거대한 백지에 작게 찍혀있는 점 하나 작지만 잘보이는 점 하나 그는 점이었나 해설: 하얀색 백지위의 점은 작지만 특별하게 잘 보인다 점을 다문화 가정에 비유한 것
색다른 내가 가진 바다는 푸른색인데 네가 가진 바다는 분홍색이네 우리가 닿을 수 없는게 고작 그런 이유라면 내 푸른 바다 위로 분홍빛 꽃들을 띄우지 뭐, 이렇게 닿을 수 있다면 그러지 뭐. [해석: 다문화 가정의 사람들은 여러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와 다른 문화를 가졌을 수 있다. 그런데 그 이유로 우리와 같이 살 수 없다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느끼며 함께 맞춰나가면 된다는 생각을 시로 써 보았다.]
5월 20일: 국민과 재한 외국인이 서로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면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 2006년 3월 ‘외국인의 날’ 지정을 위한 이민정책 포럼이 개최되었으며 의견 수렴 및 설문 조사를 통해 ‘세계인의 날’로 명칭이 정해졌다. 당시 국제연합(UN)이 정한 ‘세계 문화 다양성의 날’인 5월 21일이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부의 날과 중복되어 5월 20일로 정했다. 2007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의해 5월 20일이 세계인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 알아두면 유익한 세계 여러나라의 문화 1. 영국의 자동차 운전석은 오른쪽에 있다. 옛날 귀족들이 타고 다니던 마차가 길을 걷는 사람 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하여 왼쪽으로 다니던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2. 그리스의 올림피아는 올림픽이 탄생한 곳이다. 3. 헝가리 사람들은 굴라시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4. 핀란드의 로바니에미라는 곳에는 산타클로스의 고향이 있다. 5. 캐나다 사람들은 스키, 스케이트, 아이스하키 등의 겨울 스포츠를 즐긴다.